본문 바로가기

연애심리학

우리는 왜 잘해주고 욕먹는가? 허위합의효과 consensus bias

반응형

연애심리 / 연애방법 / 사랑하는법 / 소개팅전략

우리는 왜 잘해주고도 욕을 먹는가?

오늘부터는 연애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에 대해서 하나씩 정리해 볼까 한다. 심리학은 나 자신을 이해하는 것도 도움이 되며, 상대방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에도 도움이 된다.

 

가장 최근 우리나라는 MBTI의 위대함을 경험했다. (물론 검증되지 않은 이론에 기초하여 만들어 졌다고 심리학자들에게는 신나게 비난받는다). MBTI는 사람을 만났을 때 알고 있던 유형별 특징을 상대방에게 적용함으로써, 내가 어떻게 행동해야할지를 결정한다. 또한 내 자신의 MBTI를 남들에게 이야기해주면서 상대방의 행동, 반응에 대해서 결정지어준다. 이렇듯 심리학은 나(자신) 혹은 상대방에게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우리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결정하는 좋은 도구가 된다.


혹시 선물을 주고도 욕을 먹는가? 대답을 정성스럽게 했는데 상대방이 화를 낸 적이 있는가? 상담했는데 공감은 안 해주고 논리적으로 설명해줘서 실망했는가? 그렇다면 오늘 이야기할 허위합의효과를 들어보자

 

첫번째, 나와 같을 것이라는 착각

 

허위합의효과 정의
자신의 의견이나 판단이 옳다고 생각해 주위사람도 같은 의견과 판단을 내릴것이라 착각하는 경향

허위합의효과는 Ross, Green 및 House는 사람들이 / 자신의 반응에 대해 / 인식하는 / 상대적인 공통성을 강조하면서 / 1977년에 처음으로 정의되었다. (출처 : https://ko.wiki5.ru/wiki/False_consensus_effect)

 

허위합의효과는 샌드위치맨 실험을 통해서 정의되었는데, (* 샌드위치맨은 몸 앞뒤에 포스터 판자를 둘러메고 홍보하는 사람)

1) 첫 번째, 학생들에게 "샌드위치 복장으로 캠퍼스를 돌아다닐 수 있어?"라고 물어봤고, 대답은 당연히 두 그룹으로 나뉘었다 (Yes / No)

2) 두 번째, 다시 한번 학생들에게 "다른 학생들에게 부탁하면 그 학생들은 할까? 라고 물어봤고 대답은 두 그룹에 차이가 있었다. 

    - 첫 번째 질문에 Yes라고 대답한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도 Yes라고 대답할 거라고 60%가 답했다

    - 그러나, 첫 번째 질문에 No라고 대답한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도 No라고 대답할 거라고 70%가 답했다.

결론은 자기가 선택한 판단을 다른 사람도 같은 선택을 할 거로 생각한다는 것이다.  (마치 내가 여자친구에게 인형을 주면 여자친구가 귀여운 인형을 보고 좋아할 거라고 생각한다는 말이다)

연애심리 / 연애상담 / 연애상담 / 심리학

 

두번째, 여우와 두루미 이솝우화

 

허위합의효과는 우리가 어렸을때 읽은 "여우와 두루미" 이솝우화를 통해서도 배울수 있다.

어느 날 여우가 두루미를 자신의 저녁 식사에 초대했다. 두루미는 약속한 시간이 되자 여우네 집을 방문했다. 여우는 두루미를 반갑게 맞이하며 곧 둥근 접시 두 개에 음식을 담아 내왔다. 그러나 부리가 긴 두루미는 그것을 도저히 먹을 수가 없었다. 결국 쫄쫄 굶은 채 돌아온 두루미는 여우가 자신을 골탕먹이려고 했다고 생각해 앙심을 품었고, 언젠가 똑같이 갚아줄 것을 다짐했다. 며칠 후 이번에는 두루미가 여우를 식사에 초대했다. 여우가 두루미네 집을 방문하자 두루미는 호리병에 음식을 담아 내왔다. 주둥이가 짧아 호리병 속의 음식을 먹을 수가 없었던 여우는 자기가 했던 짓을 그대로 돌려받게 되었다. (출처 : 나무위키)

연애심리 / 연애상담 / 연애상담 / 심리학

다 아는 내용일 것이다. 처음 두루미에게 음식을 대접한 여우는 여우의 생각처럼 골탕 먹이려고 접시에 내놓은 것이 아니었다. 여우는 항상 음식을 접시에 먹었으며, 두루미도 접시 속 음식을 맛있게 먹을 거라고 스스로 판단해서 대접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는 상대방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선택이었다. 여우는 두루미의 주둥이를 조금 더 생각했어야 했다.

 

결론, 관찰하라 이해하라

 

대부분의 사람은 자기중심으로 생각할 수밖에 없다.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할 수밖에 없다면 대책을 세우자

연애심리 / 연애상담 / 연애상담 / 심리학

언제나 나와 상대방은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고 관찰하자. 그리고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찾아서 그것을 주자.

 

우리는 모두 같은 사람이기 때문에 대부분 허위합의효과로 상대방이 나와 같을거라 생각하고 행동한다. 하지만 우리는 모두 다르다. 다름을 인정하고 상대방을 관찰하자.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찾아서 그것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자. (역지사지는 참 어렵다) 

 

 

 

'연애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미오와 줄리엣 효과  (0) 2023.02.15
사랑에 빠진 착각 - 귀인오류  (38) 2022.09.21
반려동물 효과  (23) 2022.09.17
강렬한 첫인상 초두효과 Primacy Effect  (32) 2022.09.14
미러링 효과, Mirroring Effect  (6) 2022.09.10